소재지: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김용길 372 (김룡사 응진전). 좌표 및 행정 정보는 국가유산 포털에 등재되어 있습니다. 유산포털+1
구성·수량
응진전 내부에 총 24구의 존상이 봉안되어 있는데, 그중 자료로 지정된 것은 석조(石造) 16나한 + 제석천 2구 + 사자(使者) 2구 + 동자 1구, 즉 20구입니다. (목조 석가삼존불·동자상 일부는 지정 대상에서 제외). 유산포털+1
제작연대와 조각승(출처가 확인된 내용)
복장(불상 내부에 넣은 기록물)에서 나온 발원문에 따르면 이 나한상들은 **1709년(조선 후기)**에 조성되었고, 조각에 참여한 스님들(조각승) 이름으로 수연(守衍), 숭식, 효선, 적행, 여철, 옥징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제작 시기와 조각승이 분명한 드문 석조 나한군으로 평가됩니다. HKBS+1
조형적·양식적 특징
경상북도 지역의 17세기 말~18세기 초 승호파(勝湖派) 양식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주요 형식적 특징으로는
둥글고 넓적한 얼굴형, 두툼하게 늘어진 귓불,
두 손을 무릎 위에 올린 좌식 자세,
염주(염주알)나 봉황 등의 수식을 안고 있는 표현 등이 확인됩니다. 이러한 특징은 당시 경북 일대 석조불 제작 양상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1
학술적·문화적 의의
정확한 제작연대와 조각승이 알려진 석조 나한군이라는 점에서, 경북 지역 불상 조각의 계보와 양식 분포를 추적할 수 있는 기준자료입니다. 또한 응진전 전체의 구성(목조 삼존과 석조 나한·권속 등)으로 볼 때 사찰 의례·신앙 차원에서도 가치가 큽니다. 유산포털+1
보존 상태·현황
2017년 도지정 문화재 지정 때의 자료·조사로 여러 학술적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현재는 김룡사에서 관리·봉안되어 있습니다. (현장 관람을 원하시면 사찰 운영·개방 시간이나 예배·행사 때문에 출입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방문 전 사찰에 확인하시는 걸 권합니다.) 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