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십육 아라한 


01 나한 빈두로파라타 
(賓頭盧頗羅, piṇḍola-bharadvāja)

 반타가존자(半托迦尊者, Pindola-Bhāradvāja)

  • 특징: 가장 대표적인 나한으로, '지공존자(持公尊者)'라고도 불립니다.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어기고 신통력을 남용해 꾸짖음을 받았으나, 이후 불법 수호를 위해 노력한 인물입니다. 늙은 비구의 모습으로, 눈썹이 길고 인자한 표정. 신통력에 능함.
  • 상징: 경전을 들고 있거나 명상하는 모습으로 묘사됩니다. 경전이 든 경함(經函), 석장(錫杖), 발우(鉢盂) 손에 경전이나 발, 호랑이를 거느림. 부처님의 지혜를 널리 전파, 장수와 건강을 상징
  • 수행처: 서천서국(西天西國, 서쪽 나라)

02 나한 가낙가벌차 (迦諾迦伐蹉 kanaka-vatsa)

  • 가락가벌차존자(迦諾迦跋蹉尊者, Kanakavatsa)
  • 특징: 설법에 능했던 나한으로, 지혜로운 언변으로 유명합니다. 자비와 인욕의 화신. 지혜를 갖춘 젊은 비구 또는 노인의 모습.
  • 상징: 법복을 입고 손에 경전을 든 모습. 머리에 쓴 보관(寶冠), 여의(如意) 또는 경전. 꽃(연꽃) 보주(寶珠)를 듦
  • 수행처: 서천북국(西天北國).

03 나한 가낙가발리타사 존자((迦諾迦跋厘惰闍 Kanaka bharadvaja)

  • 가나가바라자(迦諾迦婆離堕尊者, Kanaka-Bhāradvāja)
  • 특징: 수행 중 고요한 마음을 유지한 나한. 위엄있는 모습, 얼굴이 둥글고 온화함. 부처님의 법을 전하는 설법자
  • 상징: 명상 자세 또는 지팡이를 든 모습. 오른손에 불자(부채)를 들고 앉은 모습. 경전, 법문 자세로 앉음. 바위 위에서 합장하거나 발우를 들고 있음.
  • 수행처: 서천동국(西天東國)

서유기에서 손오공의 고향으로 유명한 지역과 연관. 흥국사상에서 바다와 연결된 보호자 역할 강조

 

04 나한 소빈타존자 ( 蘇頻陀 Subinda)

소빈다존자(蘇頻陀尊者, Subinda)

  • 특징: 석가모니의 제자 중 하나로, 선정(禪定)에 깊이 든 수행자. 정진의 모범, 수행의 화신. 단정하고 깨끗한 모습. 젊은 비구의 모습이 많음.
  • 상징: 명상하거나 불경을 든 모습. 탑(塔), 혹은 불자가 지물을 들고 시봉하는 모습. 염주 보주를 든 모습
  • 수행처: 서천남국(西天南國).

돌 위에 결가부좌(다리 꼬아 앉음)한 모습으로, 돈황 벽화에도 유사 형상 남음. 흥국사에서 북쪽 방향의 수호와 지혜를 상징.

05 나한 낙거라존자 [ 諾距羅 , Nakula ] 나후타존자

  • 특징: 용맹한 수행자로, 힘과 인내를 상징. 힘이 센 장사의 모습 또는 근엄한 무인의 모습. 선정과 통찰의 상징
  • 상징: 사자나 호랑이를 곁에 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함. 철장(鐵杖) 또는 긴 창, 큰 곤봉. 어딘가 활달한 표정, 나무막대·지팡이를 들거나 수행자 복장. 일부 전승에서는 나무·숲과 연결됨. 두 손을 합장, 또는 연꽃 위 좌상
  • 수행처: 북구잠부주(北俱盧洲).

800명의 제자와 남쪽 바다에서 불법 전파. 돌을 의자로 삼아 앉아 양손에 여의(보주)를 쥔 모습. 돈황 76굴 벽화에 형상 확인. 흥국사상에서 남쪽의 풍요와 보호를 나타냄.

 

06 나한 발타라 존자 [跋陀羅, Bhadra ] 발타바존자

  • 특징: 자비로운 마음으로 중생을 교화한 나한. 덕이 높고 청정한 비구의 모습. 신발을 들고 있음. 청정한 마음, 원만구족을 뜻함
  • 상징: 부드러운 표정과 손에 연꽃이나 경전. 경전 또는 불자(拂子: 먼지를 터는 도구). 온화한 노인의 모습으로 경전·발우·지팡이 가운데 하나 이상을 지님. 보주나 발우를 든 모습, 향로 또는 꽃그릇을 들고 있음
  • 수행처: 남선부주(南瞻部洲).

07 나한 가리가 존자 (迦理迦 kālika)

  • 특징: 신통력으로 유명하며, 빠른 수행으로 깨달음을 얻음. 근엄하거나 해학적인 모습. 코가 큰 노인으로 표현되기도 함. 자비로 중생을 제도함 
  • 상징: 바람을 상징하는 부채나 깃발을 든 모습. 쇠사슬이나 고리 달린 지물, 띠. 다소 엄격한 표정, 때로는 손에 지팡이나 장식물. 이름 때문에 시간이(마하)·힘과 연결되는 상징이 부여되기도 함
  • 수행처: 동승신주(東勝神洲).

08 나한 벌사라불다라 존자

(伐闍羅弗多羅, Vajraputra) 발나바사존자

바자라푸트라(伐闍羅弗多羅尊者, Vajraputra)

  • 특징: 논쟁에 능해 불교를 변호한 나한. 용맹스럽고 위엄있는 모습. 자연 속에서 수행하는 은둔자. 불퇴전의 정신
  • 상징: 단호한 표정과 법구(法具)를 든 모습. 칼 또는 보검(寶劍)을 들고 있음. 금강저, 나무 아래 좌선, 삼지창 또는 꽃가지
  • 수행처: 서우화주(西牛貨洲)

부처님 열반 후 아난다에게 가르침 베풀어 아라한 증득시킴. 1,100명의 제자와 함께 전파. 상반신 법의 벗고 바위에 앉아 패엽경(엽서 경전) 그려진 모습. 흥국사에서 강력한 수호와 밀교 요소 반영.

 

09 나한 수박가존자(戍博迦, jīvaka)
습바카(戍博迦尊者, Jīvaka)

  • 특징: 의술에 능했던 나한으로, 중생의 병을 치유. 청수하고 단정한 모습. 의약·
  • 상징: 약그릇이나 의료 도구를 든 모습. 대야(大野)나 빗자루, 혹은 동자와 함께 있는 모습. 의약·치료와 관련된 설화가 있어 약함·치유의 상징물(약합 등)과 연결되기도 함. 전형적으론 경전·수행도구를 들고 있음.
  • 수행처: 향취산(香醉山).

900명의 제자와 산에서 불법 알림. 바위 위 앉아 왼손에 불선(부채), 오른손 세 손가락 구부린 모습. 흥국사상에서 산악 수행과 청정함 강조.

 

10 나한 반탁가존자(半託迦尊者)

반타카(半托迦尊者, Panthaka)

  • 특징: 수행이 느렸지만 끊임없는 노력으로 깨달음을 얻음. 소나무 아래에서 수행하는 모습, 동생 주다반탁가와 함께 있는 경우가 많음. 경전·솜씨·교화의 상징으로 등장. 문헌·미술에서 ‘지혜를 얻음’의 이야기와 연결되어 자주 책을 든 모습으로 그려짐.
  • 상징: 명상하거나 단순한 법복 차림. 경전, 합장.
  • 수행처: 도리천(忉利天).

바라문 가문 출신으로 학문과 지혜 얻음. 1,300명의 제자와 도리천에서 불법 탐구. 바위 위 좌구 깔고 결가부좌, 양손 경전 들고 독경 모습. 신통력으로 몸 숨김. 흥국사에서 천상계 보호와 학문 상징.

 

11 나한 나호라존자(羅怙羅尊者)

라훌라(羅睺羅尊者, Rāhula)

  • 특징: 석가모니의 아들로, 계율을 철저히 지킨 나한. 부처님의 아들로서 수행하는 비구의 모습. 젊은 승려처럼 보이거나 비교적 수척한 모습, 발우·삭발·경전을 든 모습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음(부처의 아들로서의 아이·젊음 이미지가 남음). 
  • 상징: 엄격한 표정과 계율서를 든 모습. 몸을 변화시키는 신통력, 때로는 작은 집이나 불탑을 들고 있음. 비단 천, 보주, 합장하는 모습
  • 수행처: 비마성(毘摩城).

부처님의 아들로 10대 제자 중 밀행(은밀한 수행) 제일. 1,100명의 제자와 필리핀에서 불교 전함. 흥국사상에서 가족적 연대와 은밀한 지혜 강조.

 

12 나한 나가서나존자(那伽犀那尊者) 나가서나(那伽犀那)는 범어 Nāgasena의 음사

나가세나(那伽犀那尊者, Nāgasena)

  • 특징: 지혜와 논리로 유명한 나한. 코가 길거나 눈썹이 길게 늘어진 모습. 뱀(나가)과 관련된 상징이나 침착한 지혜인의 모습. ‘나가(뱀)와의 대화’ 같은 설화 때문에 뱀(혹은 나가)을 동반하기도 함. 지혜의 상징, 논리의 화신
  • 상징: 경전이나 지팡이를 든 모습. 석장(錫杖), 향로, 혹은 큰 지팡이를 짚고 있음. 파사(扇), 날개 부채 또는 용(龍)을 거느림
  • 수행처: 반도산(盤桃山).

1,200명의 제자와 산에서 불교 알림. 통견 법의 입고 바위에 걸터앉아 혀 약간 내민 모습. 흥국사에서 산악 수호와 직설적 가르침 상징.

 

13 나한 인게타존자(因揭陀尊者)

 인카타(因伽陀尊者, Ingada) Aṅgaja 

  • 특징: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수행한 나한. 산중에서 수행하며 바위 위에 앉아 있는 모습. 수행자 복장·경전 또는 지팡이 등 단순한 소지품을 지니고 있는 모습. 인연의 법, 자비를 베푸는 손
  • 상징: 나무 아래 앉아있는 모습. 발우(鉢盂), 긴 막대기, 혹은 손가락으로 바위를 가리킴. 뱀을 손에 쥐거나 감고 있음, 뱀으로 아이 구하는 설화
  • 수행처: 광협산(廣狹山).

1,300명의 제자와 산에서 진리 탐구. 왼손 경전 얹고 오른손 구슬 받들며 지팡이 기대 앉음. 흥국사상에서 협력과 광대함의 보호.

 

14 나한 벌나파사존자(伐那婆斯尊者) Vanavāsin의 음사

바나바시(婆那婆斯尊者, Vanavāsin)

  • 특징: 숲 속에서 은둔 수행을 한 나한. 숲 속에서 수행하는 모습, 때로는 손에 뱀이나 호랑이를 들고 있음.
  • 상징: 나무 잎이나 자연물과 함께 묘사. 나무 아래에서 선정(禪定)에 들거나 불자. ‘숲에 거하는 자’라는 뜻에 맞게 나무·숲을 배경으로 홀로 명상하는 수행자 모습, 지팡이·행낭 등 야외 수행 소품.
  • 수행처: 가좌산(可住山).

1,400명의 제자와 산 속에서 불법 가르침. 암굴 내 결가부좌, 양어깨 가리고 눈 감은 선정 모습. 흥국사에서 깊은 명상과 고립 수행 강조.


 

15 나한 아시다존자 (阿氏多尊者)

아지타(阿氏多尊자, Ajita)

  • 특징: 미래의 미륵불로 여겨지는 나한. 늙은 비구의 모습, 때로는 머리를 숙이고 생각에 잠긴 모습. 악을 물리치는 힘, 용맹정진
  • 상징: 자비로운 표정과 연꽃. 지팡이, 혹은 작은 새와 함께 있는 모습. 고요한 표정의 비구(僧) 형상, 때로는 수행 도구(지팡이 등)를 지님. 보검(寶劍) 또는 호랑이/사자와 함께
  • 수행처: 계족산(鷄足山).

16 나한 주다반탁가존자(注茶半託迦尊者)

주다반타카(注茶半托迦尊者, Cūdapanthaka)

  • 특징: 반타카의 동생으로, 단순한 수행으로 깨달음을 얻음. 한때 어리석었으나 깨달음을 얻은 전승 때문에 ‘겸허함·교화’의 상징으로 경전을 들거나 가르치는 자세. 형 반탁가와 함께 있으며, 천진난만하거나 해학적인 모습. 지혜의 개화, 미혹의 제도
  • 상징: 소박한 모습과 명상 자세. 경전, 또는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는 모습. 손에 수건, 청소 도구(걸레) — 깨달음의 청정 상징
  • 수행처: 비사리산(毘婆梨山).

16나한은 보통 인도 현장(玄奘) 법사가 번역한 경전인(대아라한난제밀다라소설법주기(大阿羅漢難提密多羅所說法住記)에 근거합니다.

번호 존자 이름 (한자) 일반적인 형상 및 특징 상징물 (지물)
1 빈두로바라타 (賓度羅跋羅墮) 늙은 비구의 모습으로, 눈썹이 길고 인자한 표정. 신통력에 능함. 경전이 든 경함(經函), 석장(錫杖), 발우(鉢盂)
2 가나가지 (迦諾迦伐蹉) 지혜를 갖춘 젊은 비구 또는 노인의 모습. 머리에 쓴 보관(寶冠), 여의(如意) 또는 경전
3 가낙가바라타 (迦諾迦跋釐墮闍) 위엄있는 모습, 얼굴이 둥글고 온화함. 바위 위에서 합장하거나 발우를 들고 있음.
4 수로비타 (蘇頻陀) 단정하고 깨끗한 모습. 젊은 비구의 모습이 많음. 탑(塔), 혹은 불자가 지물을 들고 시봉하는 모습.
5 낙구라 (諾矩羅) 힘이 센 장사의 모습 또는 근엄한 무인의 모습. 철장(鐵杖) 또는 긴 창, 큰 곤봉.
6 바다라 (跋陀羅) 덕이 높고 청정한 비구의 모습. 신발을 들고 있음. 경전 또는 불자(拂子: 먼지를 터는 도구).
7 가리카 (迦理迦) 근엄하거나 해학적인 모습. 코가 큰 노인으로 표현되기도 함. 쇠사슬이나 고리 달린 지물, 띠.
8 발저라불다라 (伐闍羅弗多羅) 용맹스럽고 위엄있는 모습. 칼 또는 보검(寶劍)을 들고 있음.
9 수가 (戍博迦) 청수하고 단정한 모습. 대야(大野)나 빗자루, 혹은 동자와 함께 있는 모습.
10 반탁가 (半託迦) 소나무 아래에서 수행하는 모습, 동생 주다반탁가와 함께 있는 경우가 많음. 경전, 합장.
11 나호라 (羅怙羅) 부처님의 아들로서 수행하는 비구의 모습. 몸을 변화시키는 신통력, 때로는 작은 집이나 불탑을 들고 있음.
12 나가세나 (那伽犀那) 코가 길거나 눈썹이 길게 늘어진 모습. 석장(錫杖), 향로, 혹은 큰 지팡이를 짚고 있음.
13 인게타 (因揭陀) 산중에서 수행하며 바위 위에 앉아 있는 모습. 발우(鉢盂), 긴 막대기, 혹은 손가락으로 바위를 가리킴.
14 벌나바사 (伐那婆斯) 숲 속에서 수행하는 모습, 때로는 손에 뱀이나 호랑이를 들고 있음. 나무 아래에서 선정(禪定)에 들거나 불자.
15 아시다 (阿氏多) 늙은 비구의 모습, 때로는 머리를 숙이고 생각에 잠긴 모습. 지팡이, 혹은 작은 새와 함께 있는 모습.
16 주다반탁가 (注荼半託迦) 형 반탁가와 함께 있으며, 천진난만하거나 해학적인 모습. 경전, 또는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는 모습.

법주기에 기록된 16나한 이름·거처·권속 수

(동아시아 미술에서 고정된 표준)

순서    산스크리트                      중국어                   한국어 음                권속         주요 거처         대표 도상

 

1 Pindola Bharadvāja 賓度羅跋囉惰闍 빈도라발라타사 1,000 서규타니주 사자 위에 앉아 경 읽는 모습
2 Kanakavatsa 迦諾迦伐蹉 가노가벌차 500 카슈미르 어깨에 새(까마귀) 앉음
3 Kanaka Bharadvāja 迦諾迦跋厘墮闍 가노가발리타사 600 동승신주 손에 보주(寶珠)
4 Subinda 蘇頻陀 소빈타 700 북구로주 연꽃 들고 있는 모습
5 Nakula (Nokula) 諾距羅 노거라 800 남섬부주 호랑이와 함께
6 Bhadra 跋陀羅 발타라 900 담몰라주 탑을 들고 있음
7 Kālika 迦理迦 가리가 1,000 승가타주 부채 들고 있는 모습
8 Vajraputra 伐闍羅弗多羅 벌사라불타라 1,100 발라나주 금강저(金剛杵) 들고 있음
9 Svapaka (Gopaka) 戍博迦 수박가 900 향취산 지팡이 짚고 있는 노인
10 Panthaka 半托迦 반타가 1,300 도리천 용 위에 앉아 있음
11 Rāhula 囉怙羅 나호라 1,100 필리양구주 관을 쓰고 있는 모습
12 Nāgasena 那伽犀那 나가새나 1,200 반도파산 뱀(용)과 함께
13 Ingada 因揭陀 인개타 1,300 광협산 손에 칼 들고 있음
14 Vanavāsin 伐那婆斯 벌나파사 1,400 가주산 나무 아래 수행 중
15 Ajita 阿氏多 아씨다 1,500 영축산 사슴과 함께
16 Cūḍapanthaka 注荼半托迦 주다반타가 1,600 지축산 책상 위에 앉아 경 읽음

대아라한난제밀다라소설법주기(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 설명

이 경전은 불교 경전 중 하나로, 줄여서 《법주기(法住記)》 또는 《법주경(法住經)》으로도 불립니다. 원제는 중국어로 《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이며, 당나라 현장(玄奘) 삼장이 번역했습니다. 타정 대장경(Taisho Tripitaka) 번호는 T2030입니다. 이 경전은 부처님의 열반 후 불법(佛法)이 어떻게 유지되고 소멸되는지, 그리고 16대 아라한(阿羅漢)의 역할에 대한 예언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원래 산스크리트어 텍스트는 Nandimitrāvadāna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어 번역본이 주로 전해집니다.

배경과 저자

  • 저자: 난제밀다라(難提蜜多羅, Nandimitra) 아라한. '난제밀다라'는 '경희(慶喜)' 또는 '慶友'로 번역되며, 부처님 열반 후 약 800년 후 스리랑카(師子國, 실론)에서 활동한 대아라한입니다. 그는 8해탈, 3명, 6신통 등 무量한 공덕을 갖춘 성자로 묘사됩니다.
  • 시기: 부처님 열반 후 800년경, 스리랑카 승군왕(勝軍王) 시대.
  • 형식: "여시전문(如是傳聞)"으로 시작하며, 난제밀다라가 자신의 열반 직전에 제자들에게 전해들은 이야기를 설하는 내용입니다. 이는 불교 전승(傳聞)에 기반한 아바다나(avadāna, 설화) 스타일입니다.

주요 내용 요약

이 경전은 부처님의 불법이 미래에 어떻게 지속되고 소멸되는지를 설명합니다. 핵심은 부처님(석가모니)이 열반 직전에 16명의 대아라한과 그 권속(眷屬)들에게 불법을 맡겨 보호하게 한다는 것입니다. 이 아라한들은 불법이 소멸할 때까지 수명을 연장하며, 세상을 보호하고 시주자들에게 복을 베풍니다.

  1. 서두: 난제밀다라가 열반 직전에 제자들을 모아 자신의 공덕과 업적을 말하고, 의문이 있으면 물어보라고 합니다. 제자들이 부처님의 불법이 얼마나 지속될지 묻자, 난제밀다라는 부처님이 이미 《법주경》에서 말했지만 다시 설명하겠다고 합니다.
  2. 16대 아라한의 역할:
    • 부처님은 열반 시 16대 아라한에게 불법을 맡겨 소멸되지 않게 하고, 그들의 몸을 시주자들의 진정한 복전(福田)으로 삼아 큰 과보를 주라고 지시합니다.
    • 이 아라한들은 3명, 6신통, 8해탈 등 무량 공덕을 갖추고, 신통력으로 수명을 연장하며 불법을 보호합니다. 시주자들이 사찰에서 공양하거나 대회를 열 때, 이 아라한들은 변신해 나타나 보이지 않게 공양을 받고 시주자에게 복을 줍니다.
  3. 16대 아라한의 이름과 거처: 이 경전의 핵심으로, 각 아라한의 이름과 권속 수, 주 거처를 나열합니다. (아래는 중국어 원명과 한글 음역)
  4.  
    순서이름 (중국어 / 한글 음역)권속 수주 거처
    1 賓度羅跋囉惰闍 (빈도라발라타사) 1,000 서구타니주(西瞿陀尼洲)
    2 迦諾迦伐蹉 (가노가벌차) 500 북방 가습미라국(迦濕彌羅國, 카슈미르)
    3 迦諾迦跋厘墮闍 (가노가발리타사) 600 동승신주(東勝身洲)
    4 蘇頻陀 (소빈타) 700 북구로주(北俱盧洲)
    5 諾距羅 (노거라) 800 남섬부주(南贍部洲, 인도 대륙)
    6 跋陀羅 (발타라) 900 담没羅洲(耽沒羅洲)
    7 迦理迦 (가리가) 1,000 승가타주(僧伽荼洲)
    8 伐闍羅弗多羅 (벌사라불타라) 1,100 발라나주(缽剌拏洲)
    9 戍博迦 (수박가) 900 향취산(香醉山)
    10 半托迦 (반타가) 1,300 삼십삼천(三十三天)
    11 囉怙羅 (나호라) 1,100 필리양구주(畢利揚瞿洲)
    12 那伽犀那 (나가새나) 1,200 반도파산(半度波山)
    13 因揭陀 (인개타) 1,300 광협산(廣脅山)
    14 伐那婆斯 (벌나파사) 1,400 가주산(可住山)
    15 阿氏多 (아씨다) 1,500 취봉산(鷲峰山, 그리드라쿠타 산)
    16 注荼半托迦 (주다반타가) 1,600 지축산(持軸山)
  5. 불법의 지속과 소멸:
    • 불법은 남섬부주에서 사람 수명이 10세까지 줄어들 때(칼날 재앙 시) 일시 소멸합니다. 그 후 수명이 100세로 늘어나면 아라한들이 다시 나타나 불법을 부흥시킵니다.
    • 불법은 수명 6만 세까지 번성하다가 7만 세에 영원히 소멸합니다.
    • 그때 16대 아라한이 모여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스투파(窣堵波)를 만들고, 공양 후 열반합니다. 스투파는 땅속으로 가라앉습니다.
    • 이후 7만 구치(俱胝, 1억) 독각(獨覺)이 나타나 수명 8만 세에 열반합니다.
    • 다음으로 미륵(彌勒) 부처님이 나타나 세 번의 법회에서 제자들을 제도합니다: 1회 96구치, 2회 94구치, 3회 92구치.
  6. 선근 심기와 과보:
    • 현재 석가모니 불법에서 불사(佛事: 불상·탑 만들기), 법사(法事: 경전 읽기·설법), 승사(僧事: 승려 공양)를 하면 미륵 부처님 시대에 인간으로 태어나 각각 1·2·3 법회에서 출가해 열반합니다.
    • 구체적으로 대승경전(般若波羅蜜多經 등 수많은 경전 목록 나열), 성문삼장 등에 대한 공양을 강조합니다.

역사적·문화적 의의

  • 이 경전은 16나한 신앙의 근거가 됩니다. 한국·중국·일본 불교에서 16나한상이나 18나한상(2명 추가), 500나한상(권속 포함)이 조성되는 이유입니다.
  • 불법의 영속성과 미래 부처(미륵)의 출현을 예언하며, 신자들에게 선행을 장려합니다.
  • 한국 불교에서는 사찰의 나한전(羅漢殿)에서 이 내용을 바탕으로 한 조각상이나 벽화가 많습니다.

대아라한난제밀다라소설법주기(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원문 한글번역본

십육나한 — 이름(산스크리트 → 한글 표기) 및 전형적 묘사·상징물

  1. Piṇḍola Bhāradvāja (빈두라 / 빈도라 · 한글: 빈두라 / 빈두라 바라드바자)
    전형적 묘사: 경전(책/경함)과 탁발그릇(발우)을 든 모습, 또는 앉아 있는 모습. 병 고침·치유를 담당하는 신앙과 연결되어 일부 지역에서는 병든 곳을 만지며 치유를 비는 풍습이 있음. 위키백과+1
  2. Ajita (아지타 / 아짓타)
    전형적 묘사: 고요한 표정의 비구(僧) 형상, 때로는 수행 도구(지팡이 등)를 지님. 문헌마다 묘사가 달라 특정 지물이 고정적이지 않음. 위키백과
  3. Subinda / Abhedya (소빈다 / 수빈다)
    전형적 묘사: 경전·지팡이·수행자 복장 등으로 표현되며, 지혜·담백함을 상징. Encyclopedia of Buddhism
  4. Kālika / Mahākālika (가리카 / 칼리카)
    전형적 묘사: 다소 엄격한 표정, 때로는 손에 지팡이나 장식물. 이름 때문에 시간이(마하)·힘과 연결되는 상징이 부여되기도 함. 위키백과
  5. Vajriputra (바즈리푸트라 / 금강자손)
    전형적 묘사: 금강(dorje/바즈라)을 상징적으로 들거나 금강계열의 상징물과 연관. 힘·수호의 의미. rigpawiki.org
  6. Śrībhadra / Bhadra (시리브라다 / 바드라)
    전형적 묘사: 온화한 노인의 모습으로 경전·발우·지팡이 가운데 하나 이상을 지님. 위키백과
  7. Kanakavatsa (가나카바차 / 가나카밧사)
    전형적 묘사: 부(富)의 상징(금·보물)과 직접 연결되지는 않으나 이름상 ‘금(kanaka)’의 이미지가 반영되어 장신구·보병의 소품이 등장하기도 함. 위키백과
  8. Kanakabhadra / Kanaka Bhāradvāja (가나카바라드바자 / 카나카)
    전형적 묘사: 경전이나 수행도구·지팡이를 들고 있는 노승상. 지역에 따라 Kanakavatsa와 헷갈려 서로 다른 속성을 부여받음. Encyclopedia of Buddhism
  9. Nakula / Bakula (낙굴라 / 바굴라)
    전형적 묘사: 어딘가 활달한 표정, 나무막대·지팡이를 들거나 수행자 복장. 일부 전승에서는 나무·숲과 연결됨. himalayanart.org
  10. Rāhula (라훌라 / 라후라 — 석가의 아들 라훌라)
    전형적 묘사: 젊은 승려처럼 보이거나 비교적 수척한 모습, 발우·삭발·경전을 든 모습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음(부처의 아들로서의 아이·젊음 이미지가 남음). himalayanart.org
  11. Cuḍapaṇṭhaka / Chudapantaka (출다반타카 / 추다반탁가)
    전형적 묘사: 한때 어리석었으나 깨달음을 얻은 전승 때문에 ‘겸허함·교화’의 상징으로 경전을 들거나 가르치는 자세. Academia+1
  12. Aṅgaja (인게라 / 앙가자)
    전형적 묘사: 수행자 복장·경전 또는 지팡이 등 단순한 소지품을 지니고 있는 모습. himalayanart.org
  13. Paṇṭaka / Panthaka (반탁가 / 판타카)
    전형적 묘사: 경전·솜씨·교화의 상징으로 등장. 문헌·미술에서 ‘지혜를 얻음’의 이야기와 연결되어 자주 책을 든 모습으로 그려짐. Enlightenment Thangka+1
  14. Nāgasena (나가세나 / 나가사나)
    전형적 묘사: 뱀(나가)과 관련된 상징이나 침착한 지혜인의 모습. ‘나가(뱀)와의 대화’ 같은 설화 때문에 뱀(혹은 나가)을 동반하기도 함. rigpawiki.org
  15. Jīvaka / Gopaka (지바카 / 지바카 — 왕실·의술과 관련된 의사 지바카 전승)
    전형적 묘사: 의약·치료와 관련된 설화가 있어 약함·치유의 상징물(약합 등)과 연결되기도 함. 전형적으론 경전·수행도구를 들고 있음. himalayanart.org+1
  16. Vanavasin (바나바신 / 반나바신 — 숲에 사는 자)
    전형적 묘사: ‘숲에 거하는 자’라는 뜻에 맞게 나무·숲을 배경으로 홀로 명상하는 수행자 모습, 지팡이·행낭 등 야외 수행 소품. rigpawiki.org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